배터리 수명 단축 방지 시스템


신체의 밸런스가 중요하듯 

배터리도 셀 전압 밸런스가 중요합니다.

밸런스를 맞추면서 운영하세요. 


신규 설치 또는 부분 교체를 하면, 전체 충전 전압은 그대로이기 때문에  신규 배터리에 비해 기존 배터리들이 과 충전 됩니다.  배터리는 일정 전압 이상 충전 되면 급속히 전압이 상승합니다.  이런 전압을 용량이 없는 전압.  허 전압 이라고 합니다.  신규 설치 시에도 마찬가지로 전압이 일정하게 상승하지 않습니다.

 IEEE 에서 과 충전과 저 충전에서의 권고사항 인용

IEEE 에서는 “계속되는 과 충전이나 저 충전은 축전지의 수명을 단축시키거나 해로운 영향을 주게 된다.” 고 명시하고 있습니다. 


IEEE Std. 1188-2005 IEEE Recommended Practice for Maintenance, Testing, and Replacement of Valve-Regulated Lead- Acid (VRLA) Batteries for Stationary Applications


요약: 밀폐형 납축전지에 관한 권고안으로 월간/분기/반기/연간 점검을 실시하고, 정전류 또는 정전력 방전에 의한 축전지의 성능시험을 통해 배터리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고 잔존용량 80% 미만일 경우 교체할 것을 권고

해당배터리 : VGS/ES/MSB(ESG)/CGS 시리즈 등 무보수 밀폐형 배터리


IEEE Std. 450-2002 IEEE Recommended Practice for Maintenance, Testing, and Replacement of Vented Lead- Acid Batteries for Stationary Applications


요약: 개방형 납축전지에 관한 권고안으로 월간/분기/반기/연간 점검을 실시하고, 정전류 또는 정전력 방전에 의한 축전지의 성능시험을 통해 배터리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고 잔존용량 80% 미만일 경우 교체할 것을 권고

해당배터리: PS/HS 시리즈 등 보수형 배터리


KEPIC-ENF 3400 개방형 납 축전지 보수, 시험 및 교체


요약: 전력산업기술기준(KEPIC)에서 작성한 개방형 납축전지에 관한 기술기준으로 월간/분기/연간/특수 검사를 실시하고,

정전류 또는 정전력 방전에 의한 축전지의 성능시험을 통해 배터리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고 잔존용량 80% 미만일 경우

교체할 것을 기술기준으로 제정

 수명단축방지시스템의 특•장점


  • UPS에 전혀 영향 없이 정상 운영상태에서 설치 및 밸러스 동작
  • 축전지시스템 내 개별 셀의 과 충전 및 충전저하 방지 (수명 단축방지)
  • 축전지 신규설치 및 부분교체 시 필요
  • 납축전지 및 리튬전지 등 모든 배터리에 적용가능 
  • 1.2/2/3.2/3.7/6/8/12V 등 설정 값에 의한 밸런스 조정 
  • 모든 메뉴 한글 적용, 설치 후 로컬에서는 물론 원격지에서도 밸런스 모니터링 가능